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당뇨병 증상들

건강정보(health)/당뇨병(diabetes)

by 건강,헬스 2020. 11. 9. 10:22

본문

포도당이 체내에서 이용되지 못하고 소변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당뇨병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식품으로부터 섭취한 포도당은 우리 몸에서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당뇨병에 환자의 경우 이러한 포도당이 우리 몸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배출되므로 아무리 많이 먹어도 금방 배가 고프고, 쉽게 피로함을 느끼게
됩니다. 신장은 우리 몸에서 필요한 영양성분은 다시 몸 안으로 흡수 시키고
노폐물은 몸 밖으로 배설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필요이상 혈당이 높은
경우(보통 혈당이 180mg/dl 이상) 포도당이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이때 포도당은
다량의 물과 함께 배설되므로 소변량과 소변보는 횟수가 증가하게 되며, 수분의
손실로 인해 쉽게 갈증을 느끼게 됩니다.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가 몸 밖으로
배설됨에 따라 피로감과 체중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 외 나타나는 증상들로 피곤함, 배고픔, 체중감소, 시력장애, 피부질환, 치주염,
순환장애, 신경장애, 등이 있습니다.



당뇨병의 증상

 

 

 

 

 

당뇨병의 전형적인 네 가지 증상입니다.

 

 

  • 다갈

     

  • 다뇨

     

  • 공복감

     

  • (식사량을 늘림에도 불구한) 체중 감소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몸 속의 모든 세포는 살아가기 위해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에너지는 사람이 섭취하는 음식이 지방과 당 (포도당)으로 변환되어 공급됩니다. 이 포도당은 정상 혈액의 구성 물질로써 혈류를 따라 체내를 이동합니다. 각각의 세포는 혈류로부터 포도당을 취해 에너지로 이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세포가 혈중 포도당을 취하는데 필요한 물질이 '인슐린'이라 불리는 단백 물질입니다.

 

 

 

 

 

인슐린은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생산됩니다. 췌장은 위장 옆에 위치한 장기입니다.

 

 

  • 혈당수치가 증가하면 베타 세포에서 혈류로 인슐린이 방출돼, 혈중 포도당을 세포로 이동시킵니다.

     

  • 인슐린은 세포 표면의 단백질에 부착한 후, 혈중 포도당을 세포 내로 통과시켜 에너지로 사용되게 합니다.

     

  2 형 당뇨병 혹은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경우 충분한 양의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거나 '인슐린 감수성이 낮으므로', 몸에서 인슐린을 적절히 이용할 수 없습니다.  1 형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생산이 불충분하거나, 인슐린이 전혀 생산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인슐린이 불충분할 경우, 체내 세포는 혈류 중 포도당을 이용할 방법이 없게 되므로, 혈당수치는 상승하는 반면 세포는 ‘굶주리게’ 됩니다.

 

 

 

 

 

이때 뇌는 세포 내 에너지 부족에 반응해 식사를 더 섭취하도록 하는 신호를 보내는 한편, 체내 다른 세포의 경우 지방과 근육 단백질을 분해해 에너지를 얻으려 합니다. 동시에 간에서 근육 단백질이 포도당으로 변환되며, 악순환이 발생합니다. 포도당은 더 많이 생산되나 이러한 포도당을 세포 내로 들어가게 하는 인슐린이 부족하므로, 포도당에서 에너지가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혈당의 양이 많아지면 소변으로 ‘유출’되는데, 정상인의 소변 중에는 당이 검출되지 않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소변 중의 당이 (마른 스펀지가 물을 흡수하는 것처럼) 물을 끌어들입니다. 이처럼 흡수된 물의 양이 많아지므로 소변량도 많아지며, 소변 횟수가 증가하므로 구갈이 심해지고 물을 과도하게 마시게 됩니다.

 

 

 

 

 

인슐린 결핍 시 발생하는 이와 같은 반응들이 당뇨병 환자의 전형적인 4가지 증세 (식욕 증가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감소, 물의 과도한 섭취, 잦은 소변)을 야기합니다.  

 

'건강정보(health) > 당뇨병(diab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레스트롤에 대한 것  (0) 2020.11.15
전당뇨 란 무엇인가?  (1) 2020.11.09
당뇨병 진단  (0) 2020.11.09
당뇨의 원인  (0) 2020.11.09
당뇨의 종류  (0) 2020.11.09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